주방의 사도(使徒) 땜질맨의 인조대리석 싱크대 보수 전문 업체: 2018-09-16

2018년 9월 20일 목요일

인조대리석 상판 리모델링 리폼 보수 현장 1

 인조대리석 상판 리모델링 리폼 보수 현장 1




경기도 용인시 기흥구 00 아파트 인조대리석 갈라짐 보수 사례입니다.

현재 보시고 계신 사진은 예전에 한샘에서 생산되었던 제품으로 하얀색 칩이 박힌 아틱 화이트 상판입니다.

의뢰를 하신 고객님께서 이사를 가시면서 수리를 의뢰하신 것이라 개인적으로는 조금 아쉬움이 남는 현장이었습니다.





갈라져서 터진 부분은 최초 시공시 접착했던 부분이며,

오른쪽 코너 부분은 원인 모를 무언가로 인해 유선형으로 끝까지 균열이 생긴 상태였습니다.

이런 형태로 갈라진 경우에는 저희들이 흔히 사용하는 트리머라는 전동공구를 이용해 파내기를 할 수가 없고

완전히 분리해서 다시 붙이는 방법 밖에 없습니다.











왼쪽에 보이는 땜빵 자국을 볼 때 예전에도 갈라져서 수리를 한 것으로 추정됩니다.

화이트 계열의 인조대리석은 때가 잘 타고 얼룩이 잘 지워지지 않는 단점이 있는데,

이처럼 시간이 지나면 점차 때가 끼어 육안상 보기 싫어질 수도 있습니다.









하부에서 볼 때 누수가 있었던 흔적이 보이고, 수납장으로 물이 많이 떨어졌을 것으로 예상됩니다.









저는 항상 다른 보수 업체와는 다른 방법을 간구하는 편인데요.

지금 보시는 사진은 상판을 해체 후 그라인더로 때를 제거하는 작업 장면입니다.









기존에 나무 보강을 뜯어내고 인조대리석 쫄대를 가로질러서 다시 받쳐 줬습니다.









쳐지기 쉬운 부분은 대각선으로 받쳐주어 상판의 접지면과 하부장이 힘을 받을 수 있도록 재보강을 했습니다.









이 장면은 일명 면갈이라고 하는 작업인데,

서로 접착되는 두 면을 갈아서 틈이 없게끔 맞추는 기술입니다.

인조대리석 시공이든 보수든 이 기술은 기본이 되어야 하며, 대충 하면 나중에 AS 갈 일이 더 많아집니다.









면을 맞춘 후에 접착하는 장면입니다.

인조대리석 전용 접착제를 도포 후 하다라는 죄임 도구를 이용해서 

접지면을 강하게 당겨주어 굳히는 작업 단계입니다.










어찌 되었든 결과가 중요한 것이니 만큼 완료 사진으로 바로 넘어가겠습니다.









보수가 완료된 사진입니다.

이전에 갈라진 흔적을 찾을 수 없을 정도로 완벽히 보수가 완료된 케이스인데요,

나름 신경 써서 한 것도 있지만 인조대리석의 질이 좋았기 때문에 더 나은 결과를 가져온 것이 아닐까라는 생각을 해봅니다.

감사합니다.





































인조대리석 깨짐 복구 개수대 교체 작업 현장 파트2

 인조대리석 깨짐 복구 개수대 교체 작업 현장 파트2


서울 강서구 화곡동 토석아네스빌 보수 사례입니다.

흠집과 얼룩이 심한 인조대리석 상판과 아일랜드 식탁을 연마 샌딩하여 원상 복구하는 작업을 했으며

이와 더불어 싱크볼과 수전을 교체하였습니다.





보수든 시공이든 저희들이 현장에 방문해서 가장 먼저 할 일은 현장 상황을 확인하고 그에 대처하는 것입니다.

예를 들어, 뜨거운 솥이나 뚝배기 등으로 상판의 칩이 손상/변형되었거나 휘어서 꺼져버렸을 경우에는 보수가 용이 하지 않기 때문입니다.



다행히 이번 현장의 경우에는 인조대리석 상판의 상태가 그리 나쁘지 않았고 전체적으로 양호한 측에 속한 케이스입니다.

고객님께서 결혼 준비로 인해 일정이 며칠 연기된 경우인데 매너가 정말 좋은 분이시더군요.

솔직히 이런 고객님들께는 뭔가 더해드리고 싶습니다.



비용은 나름 저렴하게 견적을 내는 편이라 줄여드릴 수는 없고,

식탁은 그냥 손봐 드리기로 하였습니다.









누렇게 찌든 실리콘을 커터 칼로 제거하고 있습니다.

실리콘은 되도록 얇게 쏘고 손으로 문질러 주는 것이 효과적인데, 벽이 잘 맞지 않거나 타일 등이 빗각이 될 경우에는 어쩔 수 없이 두텁게 바를 수밖에 없는 문제가 생깁니다.

이경우도 그와 비슷하다고 볼 수 있습니다.









수전과 싱크볼의 상태는 그리 나쁘지는 않지만, 신혼집이라 청결하고 깨끗한 모습을 유지하고 싶으셨나 봅니다.









상판 수리를 위해 기존 가스쿡탑을 수납장안으로 넣었습니다.









여기도 실리콘을 깨끗히 다 긁어 내야 합니다. 그런데 왼쪽 조리대 상판 중앙쯤에 보시면 시커먼 자국이 보이실 겁니다.

이런 경우는 경미한 탄자국이므로 표면만 약간 연마를 하면 거의 대부분은 원상태를 회복할 수 있습니다.









소형 배풍기를 창문가에 올려놓고 작업을 위한 준비 과정입니다.

인조대리석 보수 시에는 먼지가 많이 발생하기 때문에 창문의 위치가 상당히 중요합니다.

이런 식으로 주방 쪽에 창문이 있는 경우에는 배풍기가 먼지를 흡입할 수 있어 먼지 발생률을 최소화 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이와 반대로 거실 건너편에 창문이 있는 등, 창문의 위치가 멀 경우에는 집진기를 써야합니다.

하지만 정밀한 그라인더 작업이 많을 경우에는 집진기를 사용할 수 없으므로 보수에 애로점이 있습니다.









새로운 개수대로 교체하기 위해 기존 배수구와 수전 해체 작업을 하고 있습니다.






















오랜 사용으로 인해 노후된 씽크볼을 해체하는 과정입니다.






​ 







​ 

사용하시고 계신 수전이 오래되고 메이커를 알 수 없는 제품이라면

싱크볼 교체 시 기존 수전도 같이 바꾸시는 것이 좋습니다.

​비용 조금 아끼시려다가 나중에 고장나서 교체하시려면 공임비에 재료비 등 이중으로 지출이 커집니다.













새로운 DS850 무포켓으로 교체 후 고정하였습니다.

오른쪽은 입수전 설치를 위해 타공한 구멍이고 왼쪽은 세제 수전(펌프)이 끼워질 자리입니다.









세월에 찌든 때들을 샌딩으로 연마하는 사진입니다.

국산 브랜드 제품은 거의 대부분 원래 상태를 회복할 수 있으나

수입(중국산) 제품은 상태에 따라서 복구가 안되는 경우도 더러 있습니다.

때문에 보수를 신청하실 때 제조회사 명을 같이 알려 주시는 것이 좋습니다.














점점 원래의 상태로 회복되고 있다는 느낌이 드시나요?

인조대리석 상판의 색상이 점점 밝아 지고 있는데 이것은 표면에 묻은 얼룩 등이 제거되어 제색을 찾고 있는 겁니다.









연마/샌딩 작업을 끝내고 마무리 작업입니다.

전체적으로 바이오 백색(곰팡이 방지용) 실리콘을 둘러주고 있습니다.









씽크볼(개수대) 교체가 완료된 사진입니다.

왼쪽은 세제수전, 오른쪽은 새로 교체한 입수전이며 누수가 발생할 수 있는 부분을 꼼꼼히 체크하고 있습니다.




식탁은 애초부터 서비스로 해드리기로 한 것이라 비용에 추가시키지 않고 그냥 해드렸습니다.






광택이 잘 나오지 않는 자재임에도 결과가 그리 나쁘진 않아 다행이었습니다. 

보수, 수리가 완료되었습니다. 감사합니다.


























이 블로그 검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