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방의 사도(使徒) 땜질맨의 인조대리석 싱크대 보수 전문 업체

2018년 9월 27일 목요일

인조대리석 싱크대 상판에 현장 지급된 스테인리스 싱크볼 교체

 
인조대리석 싱크대 상판에 현장 지급된 스테인리스 싱크볼 교체




서울특별시 강동구 천호동 강변 그대가 아파트 현장 지급 싱크볼 교체 현장입니다.



(기존에 쓰시던 낡은 싱크볼을, 고객님이 가져오신 새로운 스텐개수대로 교체하는 작업입니다.







현재 보시고 계신 사진은 기존에 사용하시던 낡은 싱크볼입니다.

움푹 파인 포켓이 없는 싱크볼인데요, 이런 종류를 무포켓이라고 부릅니다.










배수구, 입수전과 연결된 것들이 무엇이 있는지 살펴보고 있습니다.










아래는 고객님이 준비하신 싱크볼이며,

여기 이 싱크볼로 교체해 드리는 것이 오늘 저의 임무입니다.^^










상태가 거의 새것과 똑같은 것 같네요.










기존 개수대를 해체하고 있습니다.

스테인리스 싱크볼은 비교적 해체하기가 쉽지만

아스타볼 종류는 자칫 잘못하면 인조대리석이 깨질 위험이 있고 조금 복잡합니다.

따라서 교체 비용에서 차이가 있을 수 있으므로 이점 양해 부탁드립니다.










수전 고압호스와 연결된 정수기 호스 등을 해체하고 있는데,

사장님이 자장면을 시켜 주시네요.

사장님과 같이 앉아서 먹었는데, 정말 맛있었습니다.

사장님 말씀이....

수소문 끝에 알아낸 중국집이라고..ㅎㅎ

사장님이 너무 유쾌하신 분이셔서 작업하는 내내 너무 기분 좋았었던 것 같습니다.










벌써 교체가 완료되었네요.^^

설치하고 나니 생각보다 이쁘고 튼튼하게 보여 보기 좋네요.




















누수 확인을 마치고 작업을 마무리했습니다.

감사합니다.















2018년 9월 24일 월요일

인조대리석 벽체 연마 수리와 개수대 교체 작업

 
인조대리석 벽체 연마 수리와 개수대 교체 작업





서울특별시 송파구 송파동 00아파트 싱크대 수리 후기입니다.

이번 작업은 인조대리석 벽체 샌딩과 주방 상판 연마 샌딩, 그리고 개수대 교체와 개수대장 수리입니다.



자재는 LG 스톤 파우더이고 사용하신지 8년 정도 되셨다고 합니다.

오랜 기간 사용하시다 보니 손상된 부분이 많은 상태였습니다.










상판의 손상 여부는 육안상으로 어는 정도 구분은 가능하지만,

실제 연마를 해봐야지만 정확히 알 수 있습니다.










개수대 왼쪽의 갈라진 부분입니다.

유심히 보면 갈라진 상판의 뒤쪽이 살짝 꺼져 있는 것을 볼 수 있는데

아마도 물먹은 하부장이 내려앉음으로 인해서 상판도 쳐진 것이 아닌가 생각됩니다.















벽체 부분에 발라 놓은 실리콘이 누렇게 변색된 상태이고

틈으로도 때가 심하게 끼여 있는 모습입니다.




















여기는 후드 밑의 벽체 부분인데

처져서 벌어진 상태입니다.










개수대와 개수대 장의 수리를 위해 배수구를 해체했습니다.










장을 지탱할 밑판이 물을 먹어서 완전히 꺼진 상태이기 때문에

현재 상태로는 수리를 할 수가 없습니다.

때문에 완전히 철거 후 수리하는 방법을 택하였습니다.










가스쿡탑 부분의 기존 접착 부위도 다 떨어져 나간 상태입니다.










원활한 작업을 위해 볼상판을 완전히 분리하였습니다.















개수대 하부장도 수리를 위해 철거하였습니다.










​장을 해체한 후 확인해 보니

다​른 부위도 다 떨어져 나간 상태였습니다.

때문에 전체적으로 부실한 부분을 고정한 후 밑판을 교체하였습니다.










쓰레기와 오물이 많아서

 하부장이 들어갈 자리를 먼저 청소하고 있습니다.















기존 개수대를 해체한 후,

새로 가져온 포켓 싱크볼로 교체하였습니다.










개수대 교체 후 뜯어낸 상판과의 연결 작업을 위해서

왼쪽 상판도 분리하였습니다.




















해체하는 과정에서 인조대리석의 하부를 보니

조각조각 이어 붙인 흔적이 그대로 남아 있네요.










이곳은 오른쪽 가스쿡탑 부분, 벽쪽에 있는 상판입니다.




















벽 쪽에 있는 상판은 가스 호스 때문에 분리할 수 없어서

쿡탑의 중앙 부분을 분리하였습니다.










연마를 위해 후드도 분리하였습니다.

















구석구석에 때가 많아서 연마하려면 상당히 애먹을 것 같은 느낌이 드네요.










살짝 연마해 보니 예상대로 얼룩들이 잘 없어지지가 않네요.















연결될 접착 부위의 때를 모두 제거하고 붙일 준비를 하고 있습니다.










같이 접착하기 위해 벽체 연결 부위의 때들을 연마하고 있습니다.















모든 준비를 마친 후 인조대리석 전용 접착제로 접착을 시도했습니다.










오른쪽 쿡탑 부분과 왼쪽 상판도 접착했습니다.













본드가 굳고 연마 샌딩을 모두 완료한 사진입니다.

비록 광택을 내는 데에는 실패했지만 얼룩과 흠집 등을 제거하는 것은 성공했으며

​최대한 기존 상태를 복구하는데 노력했습니다.











틈새에 때가 끼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개수대의 접지 부분과

벽체 부분의 틈새에 바이오 투명 실리콘을 둘렀습니다.















벽체 후드 부분의 갈라졌던 부분도 메꿈 작업을 완료했습니다.















아일랜드 식탁은 너무 지저분해 보여

그냥 연마해 드리고 작업을 마무리 하였습니다.

감사합니다.








영등포구 양평동 4가 성원아파트 인조대리석 주방 수리

 
영등포구 양평동 4가 성원아파트 인조대리석 주방 수리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양평동 4가 성원아파트 갈라진 주방 싱크대 상판 보수 현장입니다.





현장을 방문해 확인해 보니

싱크볼 왼쪽에서 시작해서 쿡탑 부분까지 거의 다 갈라진 상태였습니다.

앞부분에 붙인 흔적이 있는데 여기는 제작/시공시 접착 부분입니다.










보시다시피 상판이 완전히 다 갈라지기 일보 직전입니다.

이 상태로 방치하게 되면 머지않아 틈이 생김과 동시에 서서히 내려앉아 휘어버리기 때문에

가급적 빠른 시일내에 조치를 취해 주시는 것이 옳습니다.










여느 현장과 마찬가지로 여기도 쿡탑의 오른쪽 대 버너 쪽 앞부분이 터졌습니다.










수리를 위해 가스 그릴을 분리하였습니다.










갈라진 부분의 때를 없애고 안쪽으로 보강을 하고 있습니다.
















상판의 갈라진 부위를 모두 파내고 인조대리석 쐐기(조각)를 끼워 넣을 준비를 하고 있습니다.















인조대리석 전용 접착제를 도포 후 하다를 이용해서 당겨주고 있습니다.









접착 부위가 길고 싱크볼과 쿡탑의 중앙 부분이라 타 현장 보다 본드가 많이 들어가네요.










연마 샌딩 후 마무리 단계의 작업 사진입니다.

휘어진 부분과 접착 부분이 다시 원래의 상태를 되찾았습니다.















갈라져 있던 앞치마와 물코 부분에 약간의 접착 흔적은 남았지만

비교적 자연스럽게 보수가 된 것 같습니다.








실리콘이 떨어져 있던 선반 부분을 고정한 후,

크​랙이 다시 재발하지 않도록 하부를 보강 한 후 작업을 마무리하였습니다.

감사합니다.












성북구 보문동 홈플러스 세면기 누수 보수

 
성북구 보문동 홈플러스 세면기 누수 보수




서울특별시 성북구 보문동 홈플러스 공용화장실 세면기 누수 보수 현장입니다.



아래의 사진은 세면기를 지탱할 인조대리석 보강목인데, 집 마당에서 만들었습니다.

처음에는 이 보강 기둥을 중앙에 세우고 뒤쪽으로 팝업을 연결하려고 했었는데,

현장 소장님께서 중앙에 기둥이 있으면 수납공간이 줄어들 것 같고,

청소시에 걸리 적 거릴 수도 있지 않겠느냐는 말씀을 하셔서 지금까지 고이 모셔두고만 있습니다.

언젠가는 제목을 할 날이 분명히 오리라 생각합니다.^^















떨어진 세면기 상판을 뜯어서 밖으로 가지고 나와

백시멘트를 모두 긁어내고 있는 모습입니다.










플라스틱인지 뭔지는 모르겠지만 양옆으로 누런 것이 두 개가 있는데

이 ​두 개의 기둥이 이제껏 세면기를 잡아주고 있었던 것으로 추정됩니다.















세면기를 분리 후 상판에 붙어 있는 백시멘트와 오물들을 제거 후

실리콘을 골고루 두르고 다시 붙일 준비를 하고 있습니다.















상판과 세면기 사이에 뜨는 공간이 없도록 빡빡하게 눌러주고 있습니다.










문제는 이 세면기를 영구히 고정시켜야 하는데,

시중에 나온 고정대로는 치수가 맞는 것이 없었습니다.

그래서 다른 방법을 생각하게 됐습니다.










보수가 완료되고 바이오 백색 실리콘으로 고정시킨 사진입니다.















세면기의 하부는 인조대리석 쫄대를 이용해서 10여 곳을 잡아 주었으며,

혹시나 하는 마음에 세면기와 쫄대 주변에 용본드를 골고루 도포해 주었으며,

​​그 위에 투명 실리콘을 덧발라 줌으로 튼튼하게 고정되었습니다.













감사합니다.











인조대리석 하자 보수 현장 방문 양평군 용문면 망능리 앞치마 파손

 
인조대리석 하자 보수 현장 방문 양평군 용문면 망능리 앞치마 파손





경기도 양평군 용문면 망능리 인조대리석 앞턱 치마 파손 작업 현장입니다.



현장에 도착하니 예쁜 시추 아가들이 저를 반겨주더군요.

예뻐서 쓰다듬어 주고 싶었지만 손에 돌가루가 묻은 관계로 아쉽지만 눈인사만 했습니다. ^^





현재 보시는 사진은 인조대리석 주방 상판의 앞부분이며 저희들은 에이프런이라고 부릅니다.

고객님 말씀이 깨지면 무조건 수리가 안되는 지 아시고

물이 떨어지지 않도록 떡실리콘으로만 막아 놓고 사용하셨다고 하네요.










이번 사례의 경우, 에이프런(앞치마) 부분이 완전히 파손된 상태이고 깨진 조각도 없는 상태입니다.










때문에 이런 경우에는 퍼즐 맞추기 식의 보수는 힘들며,

오로지 깨진 부위를 잘라내고 다시 이어 붙이는 방법 밖에 없습니다.

나름 심각하게 보이실지 모르겠지만,

이런 경우에도 충분히 보수가 가능하며 원래 상태로 되돌릴 수 있습니다.










파손된 앞치마 부분을 모두 잘라내고

동일한 인조대리석 자재로 보강 한 사진입니다.











이어 붙인 부위는 다시 터질 가능성이 많기 때문에

특별히 보강 부분에 신경을 썼습니다.











앞치마의 윗부분도 동일 자재를 이용해 잘라서 짜맞추고 있습니다.
















모든 준비를 완료한 후, 인조대리석 전용 접착제로 접착하고 있습니다.










에이프런의 위와 아래를 틈이 없이 붙을 수 있도록 하다를 이용해서 눌러주는 작업 과정입니다.

 









윗부분을 잡아줌과 동시에 앞부분을 당겨 주어, 최대한 기존 상태를 되찾을 수 있도록 노력했습니다.















본드가 굳으려면 시간이 걸리기 때문에 잠깐 밖으로 나와 주위를 둘러보고 있습니다.










역시 양평은 공기가 참 맑고 좋습니다. 딱 내 스탈인 것 같습니다.^^








본드가 굳은 후 연마와 샌딩을 완료한 사진입니다.















결과가 좋아 고객님이 만족하시는 모습을 뵈면 여느 때 보다 기분이 좋습니다.

하지만, 결과가 좋지 않으면 돌아오는 발걸음이 너무 무겁게만 느껴집니다.

다른 분들은 어떠실지 모르겠지만, 저는 항상 그랬습니다.

때문에 잠 못 자고 빨갱이 눈 해가지고

​다음날 보수 현장에 갔던 날들이 생생하게 기억 속에 남아 있네요^^



좋은 밤 되세요~​


인조대리석 보수 전문 업체 후기




서울특별시 노원구 중계동 싱크대 인조대리석 주방 수리 현장입니다.





현재 보시는 크랙은 열에 의해서 갈라진 사례로, 상태가 매우 심각한 경우입니다.

현장을 방문했을 때 고객님께서 하시는 말씀이....

보수가 가능하시겠어요?라고 물으시더군요.



"최대한 이색 없이 맞춰보겠습니다."라고 말씀드리고 혼자 고민에 빠졌습니다.^^



어떻게 하면 표 없이 마무리 할 수 있을지를 혼자서 그냥 말없이 골똘이 생각만 하고 있었지요.










은박지를 벗겨낸 사진입니다.

벗겨낸 은박지의 속에 있는 인조대리석의 겉면에 누렇게 때가 끼어 있는 것이 보이실겁니다.

그런데 문제는 이 얼룩은 일반적인 얼룩이 아닌 열에 의해서 변형되면서 생긴 탄 자국이란 것입니다.

제가 고민했던 이유가 바로 그것인데,











거의 대부분의 보수 업체에서는 이 경우 복구 가능 여부에 대해서 가능성을 50% 정도로 추측할 것 같은데요.

제 경우에는 상황이 어찌 되었든 간에 우선은 고객님의 욕구를 만족시켜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그것이 곧 고객님이 절 찾은 이유라고 생각하기 때문입니다.

막말로 모 싱크업체 처럼 그냥 칼박아서 대충 본드질해서 땜빵하면 30분도 채 안걸리는 경우이지만,













저는 저인 것이고 제가 개발한 기술들을 외면하고 타 업체와 똑같이 하는 것은 잘못된 생각이라고 봅니다.



오​랜 고민 끝에

 작업 방법을 결정 후, 본격적인 작업에 돌입했습니다.






예전에는 포스팅 쓸 때 보수 방법에 대해서 너무 세밀하게 알려드렸던 부분이 있었는데,

그 이후로 불과 두 달도 안되어 다들 이 방법을 쓰고 있더군요.

그래서 뭐 이제는 숨길 것도 없고 다른 방법을 연구하고 있습니다.

저만 할 수 있는 최상의 방법 말이죠.






아래의 사진은 본드가 굳은 후, 연마하여 이색 여부를 판별하고 있는 장면입니다.

처음 1단계 연마에서 표가 없다면 거의 대부분은 말끔히 보수가 되지만,

여기서 표가 난다면 막말로 괘 X 팔며 등줄기에 땀이 흥건해진다는 걸 경험하실 겁니다.

​그렇지 않은 분이 있다면 인조대리석 보수를 왜 하는지에 대해 더 배우시기 바랍니다.








작업이 완료된 사진이며,

생각 외로 결과가 나쁘지 않아 나름 만족했던 보수 사례였습니다.

감사합니다.








이 블로그 검색